adsense_in_article_test


유튜브의 코로나19(우한폐렴) 관련 정책 코로나19(우한폐렴)

유튜브에 올라가는 동영상에 대해 적용되는 정책은 당연히 있어야 할 것 같긴 한데(폭력물, 음란물, 저작권법 위반 등), 유독 코로나19(우한폐렴)에 대한 내용에 대한 규제는 여타 항목들과 달리 엄청나게 방대하다. 유튜브 고객센터 웹페이지에 공개되어 있으며, 아래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support.google.com/youtube/answer/9891785?hl=ko


"다음중 어느 하나라도 해당한다면" 게시하지 말라고 해 놓고 상당히 많은 항목이 존재한다. 사실상 WHO와 지역 보건당국의 입장과 어긋나면 무조건 제재하겠다는 취지다. 이 정도 수준이면 의사나 바이러스학자가 새로운 사실을 발견해도 유튜브에는 올릴 수 없을 것 같다.

코로나19가 발생했다고 언론에 나오기 시작한 것이 2019년말이다. 신종 바이러스 질병이 나타났다는데, 이렇게나 빨리 의료계와 학계가 이 문제와 관련하여 논란의 여지가 없이 확실하게 결론을 도출될 수 있나? 유튜브 정책을 보면 이미 결론이 다 났으니 다른 의견이나 주장은 모두 검열하겠다는 취지로 보인다.

바이러스 질병에 대한 치료제나 백신의 효과와 부작용은 1~2년만에 깔끔하게 결론이 나는 종류의 분야가 전혀 아니다. 그렇게 간단했다면 제약회사들이 신약 하나를 만들겠다고 10년 넘게 연구와 시험을 할 이유도 필요도 없을 것이다.

유튜브의 코로나19 정책을 보면 이 문제와 관련하여 마치 뭔가를 숨기고 싶어서 광범위한 검열을 진행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하는 의심이 들 정도다. -_-;



핑백

  • 반달가면 : 코로나19(우한폐렴) 관련 도쿄 의사협회 회장의 기자회견 2021-08-27 21:29:20 #

    ... 관련 정보를 전달 받고 동의하는 것이 필요할 것입니다. 그리고 저는 우리가 환자들에게 이 치료법을 제공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동영상이 유튜브의 광범위한 코로나19 검열정책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지 모르겠는데, 일반인이 아니고 도쿄 의사협회 회장의 공식 기자회견인데다가 일본어이므로 살아남을 가능성도 있다. 조금 찾아보니 ... more

  • 반달가면 : 화이자(Pfizer)의 인위적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 생성에 대한 논란 2023-01-31 22:18:08 #

    ... 히 삭제한 것으로 보아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그의 언급이 거짓말이 아닐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유튜브는 코로나19가 신종 질병임에도 불구하고 보건 당국의 입장과 다른 내용은 삭제한다는 기괴한 정책을 적용하고 있다. 예전 같았으면 트위터에서도 검열에 열을 올렸을 것 같지만, 엘론 머스크가 인수해서 그런지 트위터에서는 해당 동영상이 여 ... more

덧글

  • 나인테일 2021/07/07 21:41 # 답글

    그건 규정에 대한 확대 해석인 것 같고요. 구체적인 예시 목록을 보면 차단 먹어도 할 말이 없는 사이비들 이야기네요. 실제로 유튜브에는 관련 논문 리뷰나 이미 알려진 양적 데이터에 대한 독자적 분석이나 이런 영상들 많이 올라옵니다. 구글은 사실상 중국에 비빌 문턱이 완전히 사라져버린 기업이라 구글에서 중국몽 검열을 진행한다는건 좀 합리적이진 못한 의심이라고 봅니다. 중국이 구글 필터링 인공지능에 장난을 쳐서 인공지능에 시진핑 사상을 심어놓는 짓을 한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라고 봅니다. 차이나 언센서드 같이 중국에 극딜을 하는 채널들도 이런 온건한 가설을 지지하더군요.
  • 반달가면 2021/07/07 22:20 #

    제가 모르는 것일 수도 있겠습니다만, 구글이 중국 시장을 완전히 제꼈다는 얘기는 아직 듣지 못했습니다. 어쨌든 중국을 위해서 검열하고 있다는 생각은 들지 않습니다.

    그보다는 백신을 팔며 떼돈을 벌고 있는 제약회사들을 위한 검열이 아닌가하는 생각이 들고 있습니다. 규정에 저렇게 잔뜩 넣어놨기 때문에 제약회사 입장에서 마음에 들지 않는 동영상을 발견하면 삭제해달라고 요청하기 아주 편리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검열은 예시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정책규정을 기준으로 하겠죠. 예시는 편의를 위해 제시한 것이겠고요.

    수십년간 사용해 왔던 약이 혹시라도 코로나19에 효과가 있을 가능성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동시에 인간에게 사용해 본 적도 없고 정식 승인도 아니고 비상용으로 허가 받은 mRNA 백신에 대해서는 다들 괜찮다고 생각하는 이 분위기를 저는 어떻게 해석해야될지 모르겠습니다.
  • 2021/07/07 23:51 # 답글 비공개

    비공개 덧글입니다.
  • 2021/07/08 21:26 # 비공개

    비공개 답글입니다.
  • 2021/07/08 09:42 # 답글 비공개

    비공개 덧글입니다.
  • 2021/07/08 21:27 # 비공개

    비공개 답글입니다.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



통계 위젯 (화이트)

1164
2624
2506611

2019 대표이글루_IT

B-S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