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sense_in_article_test


리눅스에서 키(key) 파일을 설치하여 암호 없이 ssh 접속하기 리눅스

서버에 ssh 접속을 암호 없이 하고자 할 경우, 클라이언트에서 생성한 공개/비밀 RSA 키(public/private RSA key)를 이용해서 설정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에서 생성한 공개키(public key)를 서버에 설치해서, 이 공개키에 대응하는 비밀키(private key)를 가진 클라이언트의 접속을 허용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서버 server1.test.net의 john이라는 계정을 암호 없이 ssh 접속하고자 한다고 가정해 보자. 클라이언트에서 아래와 같이 작업하면 된다.

# 공개키/비밀키 생성
ssh-keygen

"Enter file in which to save the key"라는 메시지가 나오는데, 키 파일을 저장할 위치와 파일명을 묻는 것이다. 그냥 엔터를 누르면 기본값으로 설정된다. 공개키 파일은 ~/.ssh/id_rsa.pub, 비밀키 파일은 ~/.ssh/id_rsa가 된다.

"Enter passphrase"라는 메시지는 접속 암호를 설정하기 위한 것인데, 암호 없이 접속할 계획이므로 그냥 엔터를 누른다. 확인 메시지에서도 그냥 엔터를 누르자.

이제 공개키/비밀키 파일이 생성되었다. 공개키 파일을 john@server1.test.net으로 보내어 설치하자.

# john@server1.test.net에 공개키 파일 설치
ssh-copy-id john@server1.test.net

접속 대상 서버에 접속암호를 입력하고 성공적으로 로그인하면 키 파일 설치가 진행된다.

설치가 완료되고 나면 해당 클라이언트에서는 대상 서버로 암호 없이 ssh 접속이 가능하다.

# ssh 접속 (암호 입력 없음)
ssh john@server1.test.net

서버측에서 현재 설치된 공개키 목록은 ~/.ssh/authorized_keys 파일에 있다. 위의 예시를 보자면, server1.test.net 서버의 /home/john/.ssh/authorized_keys 파일이다.



핑백

  • 반달가면 : 리눅스 ssh 서버에서 암호 입력 로그인 비활성화 2021-07-06 20:30:09 #

    ... y) 기반의 인증이 제대로 설정되어 있는지 반드시 확인하자. 공개키 기반의 인증을 설정하는 절차는 이전 게시물을 참고하자. 아래의 링크다. 리눅스에서 키(key) 파일을 설치하여 암호 없이 ssh 접속하기 리눅스 ssh 서버에서 암호 입력을 통한 로그인을 비활성화하려면 /etc/ssh/sshd_config 파일을 편집하여 설정을 변경해 ... more

덧글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



통계 위젯 (화이트)

23166
2716
2481989

2019 대표이글루_IT

B-S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