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sense_in_article_test


부천 신중동 사전투표자수 논란을 종식시킬 수 있는 확실한 방법 2020년 4.15 총선

이전에 게시한 "경기도 부천 신중동 사전투표소 수수께끼 - 현실 자료를 반영한 관내사전투표수 계산"에서 이어지는 글.

부천시청(신중동 사전투표소)의 관내사전투표자수에 문제가 있다는 음모이론과 논란을 확실하게 종식시킬 수 있는 방안이 없는 것은 아니다. 이 문제와 관련하여 선관위 또는 부천시청이 공개할 수 있는 객관적인 자료를 몇가지 생각해 볼 수 있다.

[ 사전선거인명부 ]

사전선거인명부로부터 부천시청 관내사전투표자의 수를 추려서 세어보면 가장 확실할 것이나, 이름 등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것이므로 그대로 일반에 공개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민감정보를 가리는 식으로 처리를 해서 공개하면 될 것이라 생각된다.

[ 중앙 서버의 웹 접속 로그(HTTP access log) ]

사전투표 통신망은 KSX3264 표준에 따라 구성되었다. 아래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KSX3264 - 통합명부를 사용하는 사전투표소의 통신 시스템 구축 표준


사전투표자가 본인 확인 절차를 진행하면 선거인명부DB가 있는 중앙 웹서버와 통신을 하게 된다. 이 표준에 의하면 사전투표 통신망의 프로토콜은 IP/TCP/HTTPS이므로, 투표자의 개인정보를 암호화된 웹 접속을 통해 중앙으로 보내면 이 정보를 선거인명부와 대조하여 그 결과를 응답해 줄 것이다.

중앙 웹서버에는 접속 로그(HTTP access log)가 남는다. 이 로그에 저장되는 내용은 대략 아래와 같다.

클라이언트(본인확인기 또는 노트북) IP주소
사용자 id
접속시각
접속 요청 방법(GET/POST) 및 주소(url)
응답 코드(response code, 정상/오류)

부천시청의 단말기들에 할당한 IP주소들이 있을 것이고, 인증 과정이 있었다면 사용자id도 있을 것이다. 이들중 관내사전투표에서 선거인명부 조회에 사용된 클라이언트가 사전투표 기간중에 언제 접속했는지 확인해서 본인확인 조회를 요청한 수를 세어 보면 될 것이다.

[ 부천시청 CCTV 영상 ]

이 부분은 이전 게시물에서도 언급했던 내용이다. 다시 가져와서 적어 보면 아래와 같다.

물리적으로 이상 여부를 확인할 방법을 생각해 보자면, 사전투표 기간중 부천시청 CCTV 녹화영상을 보고 사전투표자를 전부 세는 것이 가장 확실하겠지만, 이 방법은 시간과 노력이 너무 많이 들어간다.

그러므로, 우선은 사전투표소에서 근무했던 사람들에게 가장 붐볐던 시간대가 언제였는지 확인한 후에 그 시간대의 영상을 가져오는 것이 빠르다. 영상을 가져와서 1시간 동안 몇명이 투표장에 들어가는지 세어본 후, 18210/24=758 보다 큰 수가 나오는지 확인한다. 만약 1시간 동안 실제로 투표한 인원수가 758보다 많이 작다면 이것은 뭔가 이상한 징후라고 의심해 볼 수 있다. CCTV 영상을 아직 폐기하지 않았다면 선관위나 부천시청이 나서면 충분히 확인 가능한 사안이 아닐까 싶다.  



일단, 여기까지이고, 위의 내용과는 무관하지만 신중동 사전투표소와 관련하여 추가적으로 발견한 내용이 있어서 그냥 여기에 덧붙여 둔다.

사전투표는 4월 10일과 11일 이틀 동안 이루어졌는데, 4월 10일은 금요일이어서 직장인들은 대부분 출근했을 것이다. 출근 이후인 오전 9시부터 12시, 점심시간 이후 오후 1시부터 5시까지의 시간대에는 투표자 방문이 상대적으로 적었을 가능성이 있다.

4월 10일에 부천시청에서 투표한 내용을 적은 개인 블로그를 찾았는데, 아래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4월 10일 9시 10분경에는 기다리는 사람이 거의 없는 쾌적한 상태"라는 얘기가 나온다.

사전투표 장소 - 부천 중동 부천시청3층 사전투표소





핑백

  • 반달가면 : 사전투표소의 CCTV는 왜 전부 가려졌나 2020-06-10 22:45:15 #

    ... 개인정보 보호가 아니라 오히려 범죄 은폐의 목적이 아니냐는 의심을 받을 가능성이 더 크지 않나 싶다. 어쨌든, 이런 상황이라면 CCTV 영상을 통해서 사전투표수에 관한 논란을 불식시키는 방안은 아쉽게도 불가능하게 되었다. ... more

덧글

  • 지나가다 2020/06/07 01:00 # 삭제 답글

    4월 10일은 휴일이 아닌 금요일이었고 실제 사전투표한 개인 블로그에서도 4월 10일 아침에는 널널했다고 표현하는 것으로 봐서는 부천 신중동에서 실제로 붐비는 시간의 평균 투표시간은 4.7초보다 훨씬 더 작아야 전체평균이 4.7초가 나올 수 있네요.
  • 반달가면 2020/06/08 20:45 #

    중간에 비는 시간이 있으면 붐비는 시간에 더 빠른 진행이 되어야 합니다. 문제는 관내사전투표에 투입된 투표용지 프린터가 몇대였는가인데, 15대로 가정하면 될 가능성도 있으나 10대로 가정하면 물리적으로 어려워 보입니다. 관련 내용은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부천 신중동 사전투표소 수수께끼 - 관내사전투표에 투입한 장비는 몇대인가
    http://bahndal.egloos.com/638739
  • 브루스브라더스 2020/06/08 00:51 # 답글

    논리적으로도 증명 가능합니다
    지나가다님 말씀대로 피크타임 때 평균 투표시간은 4.7초보다 작아야 합니다
    만약 피크타임 때 평균이 2초대가 나온다면 불가능이란게 논리적으로 증명 가능합니다
    제가 프로그램을 써서 시뮬레이션 했을때 평균 2초대면 병목 현상으로인한 대기 시간이 없었습니다
    따라서 피크타임 때 평균이 2초대라는것만 확인이 되면 논리적 증명 가능합니다
  • 반달가면 2020/06/08 20:46 #

    본인 확인부터 투표용지 수령까지 약 50초가 걸리는데, 동시 처리 가능 인원이 10명 또는 15명이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붐비는 시간에도 2초대는 물리적으로 쉽지 않을 듯합니다. 관련 내용은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부천 신중동 사전투표소 수수께끼 - 관내사전투표에 투입한 장비는 몇대인가
    http://bahndal.egloos.com/638739
  • 브루스브라더스 2020/06/09 03:36 # 답글

    2초대 당연히 불가능 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그래서 4.74에 한가한 시간대를 적용해 평균을 다시 내면 2~3초대가 나올것으로 추정되는데
    여기서 만약 2초대가 나온다면
    신중동 투표에 오류가 있었다는게 증명이 됩니다
    한가한 시간대에 대한 데이터가 있으면 정확한 평균을 뽑을 수 있고 증명도 가능합니다
  • 반달가면 2020/06/09 16:52 #

    말씀하신 방식으로 확인이 가능하겠습니다만, 확인할 수 있는 자료가 나오지 않고 있다는 것이 문제네요.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



통계 위젯 (화이트)

104451
2704
2508808

2019 대표이글루_IT

B-S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