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탑 리눅스 배포판의 경우 기본적으로 루트에 의한 ssh 접속을 막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가 꽤 있는데, 루트 계정을 허용해야 한다면 /etc/ssh/sshd_config 파일을 편집해서 관련 설정을 변경해야 한다. 우분투 계열 배포판 기준이나 다른 배포판도 비슷할 것이라 생각된다. 터미널창에서 아래와 같이 작업.
만약 ssh 데몬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설치부터 해 주자. 데비안/우분투 계열 배포판 기준이다.
# ssh 데몬 설치
sudo apt-get install ssh
이제 /etc/ssh/sshd_config 파일을 루트 권한으로 편집한다.
sudo vi /etc/ssh/sshd_config
파일 내용중에 PermitRootLogin 항목을 찾아서 아래와 같이 변경해 주고 저장한다.
PermitRootLogin yes
저장이 완료되었으며 ssh 데몬을 재기동하자.
# ssh 데몬 재기동(우분투 계열)
sudo service ssh restart
이제 루트 계정의 ssh 접속이 허용되었다. 루트에 의한 ssh 접속은 보안 측면에서는 위험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겠다.
만약 ssh 데몬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설치부터 해 주자. 데비안/우분투 계열 배포판 기준이다.
# ssh 데몬 설치
sudo apt-get install ssh
이제 /etc/ssh/sshd_config 파일을 루트 권한으로 편집한다.
sudo vi /etc/ssh/sshd_config
파일 내용중에 PermitRootLogin 항목을 찾아서 아래와 같이 변경해 주고 저장한다.
PermitRootLogin yes
저장이 완료되었으며 ssh 데몬을 재기동하자.
# ssh 데몬 재기동(우분투 계열)
sudo service ssh restart
이제 루트 계정의 ssh 접속이 허용되었다. 루트에 의한 ssh 접속은 보안 측면에서는 위험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겠다.
덧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