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sense_in_article_test


리눅스에서 16진수(hex) 문자열을 바이너리 파일로 만들기 리눅스

리눅스에서 "0F 00 FE ..." 이런 식의 16진수 문자열을 바이너리(binary) 파일로 만드는 방법이다. 바이너리 파일을 16진수 문자열로 출력해 주는 hexdump의 반대 방향 작업인 셈이다.

echo 명령의 -e 옵션을 이용해서 간단하게 작업할 수 있다. 16진수 문자열에 "\x"를 붙여주면 된다. 아래의 예시를 보자.

# 0x0F 0x00 0xFE 문자열을 바이너리 파일 test.bin으로 저장
echo -e "\x0F\x00\xFE" > test.bin

hexdump를 이용해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 내용 확인
hexdump -C test.bin
00000000 0f 00 fe 0a
00000004

위와 같이 했을 경우 test.bin의 내용을 보면 마지막에 0x0A가 붙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줄바꿈(newline)이 자동으로 들어갔기 때문이다. -n 옵션을 이용하면 줄바꿈이 추가되지 않는다.

# -n 옵션으로 줄바꿈 문자(0x0A) 제외
echo -en "\x0F\x00\xFE" > test.bin

# 문자열 추가(append)
echo -en "\x1A\xFF" >> test.bin

# 내용 확인
hexdump -C test.bin
00000000 0f 00 fe 1a ff
00000005



덧글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



통계 위젯 (화이트)

8164
2624
2506618

2019 대표이글루_IT

B-S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