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sense_in_article_test


칼리 리눅스 2016.1에서 한글 입력 기능 추가 리눅스

칼리 리눅스(Kali Linux)의 최신 버전인 2016.1에서 한글 입력 기능을 추가하는 방법이다.

칼리 리눅스는 데비안(Debian)을 기반으로 해서 제작된 배포판인데, 설치를 해 보면 S/W 저장소(repository) 목록에 칼리만 있고 데비안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데비안이 최신 버전보다는 검증된 안정성을 추구하는 배포판이고, 칼리 리눅스는 그보다는 최신 버전을 지향하고 있어서 호환성 측면에서 간극이 생겼기 때문에 데비안 저장소도 제외되어 있는 것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커널 버전만 봐도 칼리 2016.1은 거의 최신에 가까운 4.3.0이다.

어쨌든, 영어만 쓰기에는 꽤나 불편하므로 한글 입력 기능은 추가해 볼만하다. 설치 과정은 대략 아래와 같다.

우선 칼리 리눅스 2016.1 버전을 설치한다. 칼리 리눅스 공식 홈페이지로 가서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여기로.

개인적으로 언어 설정을 영어로 하는 것을 추천. 한국어로 할 경우 번역도 불완전하고 한글이 제대로 표시되지 않을 것이다. 영어로 설치한 후에 한글 폰트와 한글 입력기를 추가해서 사용하는 편이 더 나을 듯하다.

설치를 완료하고 루트(root) 계정으로 로그인한 후에 터미널창에서 작업을 진행한다.

우선 S/W 저장소 목록에 데비안 8(Jessie)의 공식 S/W 저장소를 추가하자. vi 편집기로 /etc/apt/sources.list 파일을 편집한다.

# vi로 /etc/apt/sources.list 파일 편집
vi /etc/apt/sources.list

/etc/apt/sources.list 파일에 아래의 내용을 추가하고 저장한다.

deb http://httpredir.debian.org/debian jessie main non-free contrib

이제 S/W 저장소 정보를 갱신하자. 터미널창에서 아래와 같이 입력.

# S/W 저장소 갱신
apt-get update

자, 이제 필요한 패키지를 설치하자. 한글 입력기는 나비(nabi)를 사용한다.

# 한글 입력기 설치
apt-get install nabi

# 한글 폰트 설치(은글꼴, 나눔글꼴)
apt-get install fonts-nanum fonts-nanum-coding fonts-unfonts-core

# 입력기 설정을 위한 im-config 설치
apt-get install im-config

패키지 설치를 완료하면 이제 입력기 설정을 해 준다. 터미널창에서 아래와 같이 입력.

im-config




입력기 설정을 수동으로 지정하겠느냐고 묻는데 "YES" 버튼을 클릭하면 설정창이 나온다. 여기서 입력기를 "hangul"로 선택하자. "OK" 버튼을 누르면 완료.

로그아웃하고 다시 로그인하면 한글 입력을 사용할 수 있다. 한영전환은 쉬프트(shift)+스페이스(space), 한자변환은 F9키를 사용한다.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데비안 저장소에서 시스템 관련 패키지를 이것 저것 마구 설치하면 칼리 리눅스와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한글 입력을 설치하고 나면 /etc/apt/sources.list 파일에서 데비안 저장소 부분을 주석 처리하는 것이 안전할 듯.



 

덧글

  • 나그네 2016/03/29 22:37 # 삭제 답글

    좀 답답한게요. 기본적으로 글자가 다 깨져서 메뉴던지머든지 알아먹을 도리가 없어요.
    차라리 영어로 설치하고 한글로 바꾸던지 해야지, ㅎㅎ
    기본적인 메뉴라도 알아바야, 추가하던지 삭제하던지, 내용을 바꾸던지 할텐데..
    다지우고 그냥 영어로 설치해버려야겟네요. 그리고 한글로 바꿔야 할듯.
    설명은 알기 쉬운데 접근을 못하겟네요.
  • 나그네 2016/03/29 22:43 # 삭제 답글

    ㅎㅎ 되엇습니다. 리스트파일만 usb에 옮겨서 윈도우에서 수정해서 다시 제자리 두고 실행해서 성공햇습니다. ㅎㅎ
  • 반달가면 2016/03/30 23:31 #

    아 네. 잘 해결되었다니 다행입니다~
  • 호호 2016/04/10 02:11 # 삭제 답글

    정말 감사합니다.
    알기쉽게 설명해주셔서 드디어 한글설치 했네요~
    감사합니다~
  • 반달가면 2016/04/11 07:49 #

    아 네. 도움 되었다니 다행입니다~
  • 2016/05/15 12:13 # 삭제 답글

    저기...저는 이 글대로 했는데요...
    한글도 안쳐지고...다른곳에서 하라는 데로 한글패치도 했는데
    한글도 안나오고 하네요...
    어떻게 해야하나요
  • 2016/05/15 12:16 # 삭제 답글

    아 그리고 처음에 주소 치고 저장할때요...
    저장 어떻게 하는건가요?
  • 반달가면 2016/05/15 21:34 #

    vi 편집기에서 저장은 먼저 esc키를 누른 후에 :wq 하시면 됩니다. 칼리 리눅스 2016.1 기준으로 본문의 절차를 그대로 따라서 작업하시면 한글 입력이 되어야 정상입니다;
  • 망이 2016/08/06 18:36 # 삭제 답글

    이글 보고 천천히 진행 해보았습니다. 저도 처음에는 한글 설치를 하고 했었는데 하다가 안되서 주인장님 말씀대로 영어로 설치하고 위의 방법을 진행하였는데 정상적으로 한글 사용이 가능해 졌습니다. 이제는 timeserver 관련 내용을 찾아서 시간을 맞춰봐야 겠네영. 감사합니다.
  • 반달가면 2016/08/07 00:00 #

    도움 되었다니 다행입니다~
  • 모라 2016/08/07 21:34 # 삭제 답글

    vi 에 주소넣고 저장어캐하죠 ㅠㅠ/?
  • 반달가면 2016/08/07 23:21 #

    esc 눌러서 제어 모드로 들어간 후에 :wq 누르시면 됩니다.
  • JuSiErW 2016/08/25 21:55 # 삭제 답글

    vi /etc/apt/sources.list 치고 엔터치고 a누르고 주소 치고 esc 누르고 :wq 치는거 맞나요?
    그렇게 했는데 :wq치니까 왼쪽 하단에 (E45: 'readonly' 깨진글씨-------) 이렇게 나오고 아무것도 안되네요ㅠㅠ 그상태에서 그냥 창 끄고 터미널 다시켜서 apt-get update 하면 깨진글씨로 반줄 나오고 그대로 입니다ㅜㅜ vi 치고 다시 들어가면 주소 친건 사라져 있고요 어떻게 하죠.....
  • 반달가면 2016/08/27 01:38 #

    본문에도 명시했듯이, 루트 계정으로 로그인 해서 편집을 해야 합니다.
  • 음냐 2016/09/08 00:09 # 삭제 답글

    vi 편집하고 나서 update는 정상적으로 된것같은데
    apt-get install nabi는
    E : Unable to locate package nabi 라고 떠서 이것부터 막히네요.
  • 반달가면 2016/09/08 21:05 #

    sources.list 파일에 본문에 나온 내용이 정확히 입력되어 있고 인터넷에 제대로 연결되어 있다면 설치가 되어야 정상일텐데요; 다시 한번 확인해 보시는 것이 좋을 듯 싶네요.
  • nexus 2016/10/15 17:53 # 삭제 답글

    kali는 아닌데 일반 debian stable mate에서 영문 설치->한글 입력 추가 방법을 찾다가 글 보고 도움을 받았습니다. 입력기/폰트/입력기 선택기(?)를 전부 설치해 줘야 하는군요 ㅠㅠ 그래도 한번 설정해 놓으니 좋네요!
  • 반달가면 2016/10/16 10:49 #

    칼리의 모체가 데비안이라 과정은 동일하죠. 도움 되었다니 다행입니다~
  • H4KU 2016/12/16 08:08 # 삭제 답글

    한글입력기 설치에 도움이 되었습니다.

    리눅스를 처음 접하는분들 (아마도 이글을 보고 계신 대다분들)이 vi 사용법이 익숙하지 못하신 모양입니다.본문에 간단하게나마 vi 사용법이 언급되었으면 좋겠네요

    vi /etc/apt/sources.list 하시면 vi 편집기로 sources.list 를 열게되며
    이상태에서 인서트 키를 누르면 내용물의 수정이 가능한 상태가 됩니다.

    모든 내용을 수정하셨다면 esc를 누르신뒤 :wq (write qui) 라고 쓰시면 저장됩니다.
  • 반달가면 2016/12/16 22:30 #

    그렇군요. vi는 리눅스/유닉스를 공부하면서 기본적으로 접하는 것이라 굳이 자세히 언급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설명 감사합니다.

    참고로 vi 편집기에 익숙치 않다면 leafpad 같은 gui 기반 텍스트 편집기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leafpad /etc/apt/sources.list 하면 되겠죠.

  • public 2017/04/02 01:14 # 삭제 답글

    감사합니다 덕분에 한글패치 성공적으로 잘되었습니다. ;)
  • 반달가면 2017/04/04 13:23 #

    아 네. 잘 쓰시길~
  • 2017/06/27 18:20 # 삭제 답글 비공개

    비공개 덧글입니다.
  • 반달가면 2017/06/27 23:18 #

    아 네. 도움 되었다니 다행입니다~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



통계 위젯 (화이트)

20178
2704
2506809

2019 대표이글루_IT

B-S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