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sense_in_article_test


우분투 서버에서 최소한의 GUI 환경 구성(OpenBox) 리눅스

원래 우분투 서버 배포판에는 GUI가 없다. 본래의 목적 이외에 불필요하게 자원을 쓰지 않기 위해서, 그리고 설치된 패키지가 많을수록 보안취약점이 존재할 가능성도 커기지 때문이다.

따라서, 서버에서는 웬만하면 GUI 없이 꼭 필요한 것들만 실행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그래도 아무래도 GUI가 있긴 있어야겠다면 최소한의 GUI만 설치해 보자.

서버에 로그인하고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

# S/W 저장소 갱신
sudo apt-get update
# 오픈박스 데스크탑 환경 설치
sudo apt-get install xorg openbox

오픈박스(OpenBox)는 GNOME/KDE/XFCE 같은 본격적인 데스크탑 환경에 비하면 좀 심하게 단순하지만 그만큼 가볍고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데비안 계열의 가벼운 배포판인 크런치뱅(CrunchBang) 리눅스도 오픈박스를 채용하고 있다.

설치가 끝났으면 아래와 같이 입력해서 GUI 환경으로 들어간다.

# GUI 환경 시작
startx



까만 화면에 아무것도 없이 마우스 화살표만 덩그러니 보일 것이다. 마우스 오른쪽 클릭을 하면 메뉴가 나온다. "Terminal emulator"를 선택해서 터미널창을 실행하면 된다. 이제 GUI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해서 사용할 수 있다. 실행창 선택/전환 등은 메뉴의 "Desktops" 항목에서 가능. GUI 종료는 메뉴에서 "Exit" 선택.



핑백

덧글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



통계 위젯 (화이트)

135451
2704
2508839

2019 대표이글루_IT

B-S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