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런치뱅(Crunchbang) 리눅스의 기본 데스크탑 환경인 OpenBox에서 표시되던 시스템 정보 위젯을 XFCE 환경에서 표시하는 방법이다. 데스크탑 환경을 XFCE로 바꾸는 방법은 이전에 올린 게시물을 참고하자. 여기로
시스템 정보를 표시해 주는 프로그램 이름은 conky이고, 설정은 홈 디렉토리에 있는 .conkyrc 파일에 저장되어 있다.
일단 실행부터 해 보자. 터미널창에서 바로 실행하면 된다.
conky
종료는 killall 명령을 사용하면 되겠다.
killall conky
글자 색깔을 바꾸고 싶다면 설정 파일(.conkyrc)을 편집해야 한다.
# vi 편집기로 설정 파일 열기
vi ~/.conkyrc
설정 파일에 있는 default_color 항목의 값을 바꾸면 된다. 예를 들어 글자 색깔을 하얗게 만들고 싶다면 아래과 같이 고치자.
default_color white
또 한가지 고칠 부분은 정보 표시 설정이다. 설정 파일 맨 마지막 부분으로 가 보면 있다. TEXT라고 표시된 행 이후부터가 화면에 표시될 내용이다. SHORTCUT KEYS 항목의 단축키들은 OpenBox 데스크탑 환경에 해당되는 사항이므로 이 부분은 삭제하거나 행 맨 앞에 '#'을 넣어서 주석으로 처리하자.

자, 이제 XFCE 데스크탑 환경으로 로그인할 때 conky가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해 보자. 홈 디렉토리의 .profile 파일에 명령을 추가하면 된다. 터미널창에서 아래와 같이 입력.
echo "sleep 5 && conky &" >> ~/.profile
데스크탑 배경화면이 다 그려지고 난 후에 conky가 실행되도록 sleep 명령을 조합했다.

시스템 정보를 표시해 주는 프로그램 이름은 conky이고, 설정은 홈 디렉토리에 있는 .conkyrc 파일에 저장되어 있다.
일단 실행부터 해 보자. 터미널창에서 바로 실행하면 된다.
conky
종료는 killall 명령을 사용하면 되겠다.
killall conky
글자 색깔을 바꾸고 싶다면 설정 파일(.conkyrc)을 편집해야 한다.
# vi 편집기로 설정 파일 열기
vi ~/.conkyrc
설정 파일에 있는 default_color 항목의 값을 바꾸면 된다. 예를 들어 글자 색깔을 하얗게 만들고 싶다면 아래과 같이 고치자.
default_color white
또 한가지 고칠 부분은 정보 표시 설정이다. 설정 파일 맨 마지막 부분으로 가 보면 있다. TEXT라고 표시된 행 이후부터가 화면에 표시될 내용이다. SHORTCUT KEYS 항목의 단축키들은 OpenBox 데스크탑 환경에 해당되는 사항이므로 이 부분은 삭제하거나 행 맨 앞에 '#'을 넣어서 주석으로 처리하자.

자, 이제 XFCE 데스크탑 환경으로 로그인할 때 conky가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해 보자. 홈 디렉토리의 .profile 파일에 명령을 추가하면 된다. 터미널창에서 아래와 같이 입력.
echo "sleep 5 && conky &" >> ~/.profile
데스크탑 배경화면이 다 그려지고 난 후에 conky가 실행되도록 sleep 명령을 조합했다.

덧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