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를 한국어로 선택해서 오픈수세(OpenSUSE) 리눅스 13.1을 설치해 보았다. 데스크탑 환경은 언제나 그랬듯이 XFCE로 선택.
한글로 설치하면 한국어 파일들을 설치하기 위해 온라인 저장소를 추가하라고 나온다. 기본 설정을 사용(주 저장소 추가)하고 인터넷 연결을 설정한 후 설치를 진행.
한글입력은 fcitx를 채택하고 있는데, 약간의 설정을 바꿔 주면 큰 무리 없이 쓸 수 있다.
한/영 전환은 ctrl+스페이스이고 한자는 F9이다. 개인적으로 ctrl+스페이스보다 쉬프트+스페이스를 선호하는 관계로, fcitx 설정을 변경했다.
입력기 설정은 오픈수세 시작메뉴에서 설정 -> Settings Manager -> Fcitx Configuration으로 가거나, 또는 터미널창에서 아래와 같이 입력하자.
fcitx-config-gtk3
여기서 'Global Config' 탭으로 간 후, 'Trigger Input Method' 항목에 나와 있는 버튼을 클릭하면 새로 설정할 전환키를 누르라는 안내(Please press the new key combination)가 나온다. 여기서 쉬프트+스페이스를 눌러서 변경.

또 한가지 변경할 부분은 스킨(skin)이다. 오픈수세 기본 스킨으로 할 경우 한자 전환을 할 때 한자 선택하는 부분이 너무 어두워서 불편하다. 바탕화면 아래쪽에 있는 키보드 모양의 입력기 아이콘을 마우스 오른쪽 클릭하여 'Skin' 항목으로 간 후, openSUSE-default를 default로 변경.

메뉴 항목들이 아직도 영어가 좀 많다는 점이 아쉽긴 하지만, 그럭저럭 쓸만하군.
한글로 설치하면 한국어 파일들을 설치하기 위해 온라인 저장소를 추가하라고 나온다. 기본 설정을 사용(주 저장소 추가)하고 인터넷 연결을 설정한 후 설치를 진행.
한글입력은 fcitx를 채택하고 있는데, 약간의 설정을 바꿔 주면 큰 무리 없이 쓸 수 있다.
한/영 전환은 ctrl+스페이스이고 한자는 F9이다. 개인적으로 ctrl+스페이스보다 쉬프트+스페이스를 선호하는 관계로, fcitx 설정을 변경했다.
입력기 설정은 오픈수세 시작메뉴에서 설정 -> Settings Manager -> Fcitx Configuration으로 가거나, 또는 터미널창에서 아래와 같이 입력하자.
fcitx-config-gtk3
여기서 'Global Config' 탭으로 간 후, 'Trigger Input Method' 항목에 나와 있는 버튼을 클릭하면 새로 설정할 전환키를 누르라는 안내(Please press the new key combination)가 나온다. 여기서 쉬프트+스페이스를 눌러서 변경.

또 한가지 변경할 부분은 스킨(skin)이다. 오픈수세 기본 스킨으로 할 경우 한자 전환을 할 때 한자 선택하는 부분이 너무 어두워서 불편하다. 바탕화면 아래쪽에 있는 키보드 모양의 입력기 아이콘을 마우스 오른쪽 클릭하여 'Skin' 항목으로 간 후, openSUSE-default를 default로 변경.

메뉴 항목들이 아직도 영어가 좀 많다는 점이 아쉽긴 하지만, 그럭저럭 쓸만하군.
덧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