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sense_in_article_test


리눅스의 가변 램디스크 /dev/shm 리눅스

리눅스에서 df 명령으로 디스크의 빈 공간을 확인해 보면 /dev/shm 디렉토리가 있는데, 파일시스템 형식은 tmpfs이고 크기는 램(RAM) 용량의 반 정도 될 것이다.
 
이 디렉토리는 공유 메모리(shared memory)라고 해서 일종의 램디스크인데, RAM 용량의 반을 당장에 실제로 점유하고 있는 것은 아니고 사용하는 만큼만 용량을 소모한다. 그러므로 RAM 용량이 반이나 날아갔다고 오해하면서 걱정할 필요는 없다.

자주 읽기/쓰기를 하는 임시 파일을 사용해야 할 경우에 RAM 용량이 충분하다면 이 디렉토리가 상당히 요긴하다.

다만, 한가지 주의할 점은 /dev/shm의 접근 권한이다. 모든 사용자가 읽고 쓸 수 있으므로, 만약 이 디렉토리를 사용하고 싶다면 하위에 자신만 접근할 수 있는 권한으로 디렉토리를 하나 만들어서 사용하자.

cd /dev/shm
mkdir my_tmp_dir
chmod 700 my_tmp_dir  (자신만 접근할 수 있도록 권한 설정)

참고로, 만약 다른 프로그램들이 RAM을 이미 많이 점유하고 있는 상태에서 /dev/shm 디렉토리를 사용하다가 사용량이 RAM 용량을 초과하게 되면 그 때는 스왑(swap) 영역으로 넘어간다.



핑백

  • 반달가면 : [bash: mktemp] 안전하게 임시 파일/디렉토리 만들기 2014-01-08 22:49:20 #

    ... 필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사실 홈 디렉토리에서 임시 파일을 만든다면 mktemp 명령을 굳이 쓰지 않아도 될 것 같다. 하지만 메모리 영역(RAM)에 연결된 /dev/shm 디렉토리에 임시 파일을 만들고 싶다면 되도록 mktemp 명령을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dev/shm 디렉토리의 권한이 777(rwxrwxrws)로 설정되어 ... more

  • 반달가면 : [bash: find] 파일/디렉토리 검색 속도 향상을 위한 색인 만들기 2015-01-06 22:10:04 #

    ...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램(RAM) 디스크 영역인 /dev/shm 디렉토리에 임시로 색인을 만들어 보자. (/dev/shm 디렉토리에 대한 내용은 이전 게시물을 참고하자. 여기로) /dev/shm 디렉토리에 mktemp 명령으로 임시 디렉토리를 만들고 그 안에 색인을 저장하자. (mktemp 명령에 대한 내용은 이전 게시물을 참고하자. ... more

  • 반달가면 : 리눅스에서 네트워크로 연결된(nfs/sshfs) 파일을 USB저장장치로 보낼 때의 문제 2015-02-12 22:06:48 #

    ...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 아닐까 싶긴 한데, 원인 파악보다 파일 복사가 더 급한 관계로 shell script 하나를 만들어서 해결. 복사할 파일을 램(RAM)디스크 영역인 /dev/shm 디렉토리로 하니씩 옮긴 후에 USB저장장치로 보내도록 했다. 아래와 같은 형태로 스크립트를 만들었다. # 복사할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src_dir ... more

덧글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



통계 위젯 (화이트)

145164
2624
2506579

2019 대표이글루_IT

B-Side